본문 바로가기
따뜻한 지원금 보조금

주거급여 수급자 혜택 2025년 가이드

by 머플레이어 2025. 7. 8.

“나는 주거급여 받고 있는데, 어떤 혜택을 더 받을 수 있나요?”

주거급여를 이미 받고 있거나,
이제 막 신청하려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게 이거예요.


“도대체 얼마나 지원되는 거고,
월세 말고도 혜택이 더 있나?” 하는 질문이죠.

 

사실 저도 예전에 이 제도 이름만 알고 있었지
구체적으로 어떤 지원을 받는지 몰랐어요.


그런데 알고 보니,
✔ 월세 지원뿐 아니라
✔ 자가주택 수선,
✔ 청년 분리지급,
✔ 임대주택 가산점까지
받을 수 있는 게 한두 가지가 아니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현재 주거급여 수급자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한눈에, 쉽게, 외부링크 없이 정리해드릴게요.

 


📌 목차

  1. 주거급여란? 기본 개념
  2. 주거급여 수급자 유형별 혜택
  3. 2025년 기준 월세 지원금액
  4. 자가주택 수선비용 지원
  5. 청년 분리지급 제도
  6. 추가 혜택 (공공임대, 수급 연계 등)
  7. 결론 – 지금 확인하고 더 챙기세요!

1. 주거급여란? 기본 개념

주거급여는
정부가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매달 임대료나 수선비를 지원하는 제도예요.

이 제도는

  • 임차 가구(월세, 전세 사는 분)와
  • 자가 가구(자기 집 있지만 낡고 수리 필요)로 나눠서
    다르게 지원하고 있어요.

주거급여 수급자 혜택 2025년 가이드


2. 주거급여 수급자 유형별 혜택

✅ 임차 가구 (세입자)

  • 정부에서 매달 임대료를 지원
  • 실제 지불하는 월세 금액과 기준임대료 중 낮은 금액 기준
  • 지원금은 신청 후 심사 완료 시점부터 소급 적용 가능

✅ 자가 가구 (집 가진 사람)

  • 보일러, 창문, 지붕 등 집 수리비 지원
  • 수리비는 경보수, 중보수, 대보수로 나뉘어 차등 지원
  • 노후 주택에 대해 전문가 현장조사 후 지원 결정

주거급여 수급자 혜택 2025년 가이드


3. 2025년 기준 월세 지원금액

주거급여는 지역과 가구원 수에 따라 지원금 상한이 달라요.
이걸 기준임대료라고 부릅니다.

1인 352,000원 281,000원 228,000원 191,000원
2인 395,000원 314,000원 254,000원 215,000원
3인 470,000원 375,000원 302,000원 256,000원
4인 545,000원 433,000원 351,000원 297,000원
 

💡 예를 들어, 서울에서 2인 가구가 월세 39만 원을 낸다면
전액 지원 가능합니다.


만약 42만 원이라면 기준임대료(395,000원)까지만 지원되고,
초과 금액은 본인이 부담해야 해요.

주거급여 수급자 혜택 2025년 가이드


4. 자가주택 수선비용 지원

내 집이 있더라도 너무 낡았거나
기초보수(보일러, 도배, 단열 등)가 필요한 경우엔
수선비용을 다음 기준으로 지원받을 수 있어요.

경보수 도배, 장판, 보일러 교체 등 약 457만 원
중보수 지붕, 창호, 외벽 수리 등 약 849만 원
대보수 기초구조, 전체 개보수 약 1,601만 원
 

※ 수리는 1~5년 주기로 신청 가능하며,
LH나 지자체 담당자가 직접 방문해서 진단한 후 결정돼요.

주거급여 수급자 혜택 2025년 가이드


5. 청년 분리지급 제도

청년이 가족과 주민등록상 함께 등록되어 있지만
직장이나 학교 때문에 따로 월세를 내고 자취 중이라면,
기존 가족 주거급여와는 별도로 ‘청년 분리지급’을 받을 수 있어요.

 

예시:

  • 부모님 집은 경북,
  • 자녀는 서울 자취 중 →
    두 명이 각각 별도로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 청년 나이 만 19세 이상 ~ 만 30세 미만
  • 부모 가구와 소득 합산 후 수급 기준 충족해야 함
  • 자취방 임대차계약서, 재직증명서, 재학증명서 필요

주거급여 수급자 혜택 2025년 가이드


6. 추가 혜택 (공공임대, 수급 연계 등)

주거급여 수급자는 다음과 같은 추가 복지 혜택도 연계될 수 있어요.

  • 공공임대주택 신청 시 가산점 부여
  • 국민임대, 행복주택 우선 입주 기회 확대
  • 기초생활수급자와 연계된 복지(의료, 교육, 에너지바우처 등)
  • LH 긴급주거지원제도 연계 가능

또한,
월세 외에도 수도세, 가스비 등
에너지 요금 감면 혜택을 함께 받을 수 있는 경우도 많아요.

주거급여 수급자 혜택 2025년 가이드


✅ 주거급여는 ‘몰라서 못 받는’ 제도가 아닙니다

주거급여는 단순히 월세 몇 만 원 지원하는 게 아니에요.


✔ 월세 전액 또는 기준임대료까지 지급
✔ 자가주택이면 집수리비도 지원
✔ 청년 분리시 월세 따로 지급
✔ 공공임대·에너지지원 등 연계 복지도 다수

 

신청만 하면
지금보다 훨씬 안정된 주거 생활을 누릴 수 있어요.

 

혹시 지금 주거급여 수급 중이라면
“그냥 월세만 나오는구나~” 하고 끝내지 마시고,
다른 혜택도 꼼꼼히 챙기세요!

 

📌 아직 신청 안 하셨다면,

가까운 주민센터나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부터 시작하세요.


[생활 꿀팁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