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따뜻한 지원금 보조금

주거급여 지원금액 2025년 가이드

by 머플레이어 2025. 7. 8.

주거급여 지원금액 2025년 가이드

“전세금, 월세 내기도 버거운데… 정부에서 뭐 좀 도와줄 순 없을까?”

저도 그랬어요.


자취하면서 월세, 관리비, 수도세, 전기세 다 내고 나면
남는 게 없었거든요. 그러다 어느 날 주민센터에서 ‘주거급여’란 걸 알게 됐어요.

 

그때만 해도 "이건 기초수급자나 받는 거 아니야?" 싶었는데,
생각보다 많은 저소득층과 무주택자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이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 내가 받을 수 있는지
✔ 받을 수 있다면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 신청은 어디서, 어떻게 하는지


2025년 기준으로 아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목차

  1. 주거급여란 무엇인가요?
  2. 2025년 주거급여 자격조건
  3. 월별 지급금액은 얼마나 되나요?
  4. 자가주택이 있는 경우는?
  5. 신청 방법 & 필요한 서류
  6.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7. 결론 – 지금 신청하세요

주거급여 지원금액 2025년 가이드


1. 주거급여란 무엇인가요?

주거급여는
정부가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예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어요.

  • 월세나 전세로 사는 사람 → 정부가 매달 임차료(월세)를 지원
  • 자가주택을 가진 사람 → 낡은 집일 경우 집수리 비용 일부를 지원

즉, 월세로 살든 자가로 살든
기초생활이 어려운 분들에게는 꼭 필요한 주거 복지 제도입니다.

주거급여 지원금액 2025년 가이드


2. 2025년 주거급여 자격조건

주거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 중 하나라서,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요.

2025년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인 가구가 대상이에요.

1인 가구 약 1,148,000원 이하
2인 가구 약 1,917,000원 이하
3인 가구 약 2,475,000원 이하
4인 가구 약 2,926,000원 이하
5인 가구 약 3,359,000원 이하
 

※ 단, 가구원 수, 재산, 자동차 등도 함께 심사되며
※ 현재 살고 있는 주택의 계약 여부와 실제 거주 여부도 확인해요.

주거급여 지원금액 2025년 가이드


3. 월별 지급금액은 얼마나 되나요?

지원 금액은 지역별, 가구원 수별로 다르게 적용돼요.
이를 '기준 임대료'라고 부르는데,


월세가 기준 임대료보다 작으면 실지불 금액을 기준으로,
월세가 기준보다 크면 기준 임대료까지만 지원됩니다.

1인 352,000원 281,000원 228,000원 191,000원
2인 395,000원 314,000원 254,000원 215,000원
3인 470,000원 375,000원 302,000원 256,000원
4인 545,000원 433,000원 351,000원 297,000원
5인 이상 564,000원~667,000원 범위      
 

📌 예를 들어,
서울에 사는 2인 가구가 월세 38만 원을 낸다면
기준임대료인 395,000원 이하니까
실제 지불한 380,000원이 전액 지원될 수 있어요.

주거급여 지원금액 2025년 가이드


4. 자가주택이 있는 경우는?

내 명의로 된 집이 있더라도
노후화된 주택이라면 수선비용을 일부 지원해줍니다.

지원 내용은 집의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돼요.

  • 경보수 (도배, 장판, 보일러 등): 약 457만 원
  • 중보수 (창호, 외벽 등): 약 849만 원
  • 대보수 (지붕, 기초 등 전체 구조): 약 1,601만 원

심사를 통해 어느 수준의 보수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1년에 한 번씩 신청 가능합니다.

주거급여 지원금액 2025년 가이드


5. 신청 방법 & 필요한 서류

📍 어디서 신청하나요?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도 신청 가능해요.
    (단, 공인인증서 필요)

📄 필요한 서류

  • 본인 신분증
  • 임대차계약서 사본 (월세·전세 거주자)
  • 통장 사본
  • 소득 확인 서류 (급여명세서, 건강보험 납부내역 등)
  • 가족관계증명서

💡 처음 신청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LH가
소득·재산조사 및 주택 실태조사를 실시한 뒤 지급이 결정돼요.

주거급여 지원금액 2025년 가이드


6.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 매년 자동 갱신되지 않아요.
    자격 조건이 유지되더라도 정기 갱신신청을 해야 계속 지원받을 수 있어요.
  • 가족 수와 실거주 상태가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녀 명의로 월세 계약했지만 부모가 거주 중이면
    신청이 반려될 수 있어요.
  • 임대차계약이 꼭 필요해요.
    월세를 내고 있어도 계약서가 없으면 지원을 못 받을 수 있어요.
  • 자가주택 보수는 전문가가 조사한 후 지급 결정됩니다.
    무조건 신청한다고 나오는 게 아니에요.

주거급여 지원금액 2025년 가이드


✅ 결론 – 월세에 지치셨다면, 지금이 신청할 타이밍입니다

주거급여는
✔ 단순한 ‘혜택’이 아니라
✔ 지금 당장의 주거 부담을 크게 덜어주는
진짜 실질적인 복지제도입니다.

 

생각보다 조건도 까다롭지 않고,
✔ 주민센터 가서 말 한마디면 친절하게 다 설명해줘요.
✔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니 부담 없이 시도해보세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어요.
올해부터 주거비 걱정을 덜고 싶다면, 오늘 꼭 신청해보세요!

주거급여 지원금액 2025년 가이드


[생활 꿀팁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