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 소득이면 나도 수급자 해당되는 거 아니에요?”
저도 예전에는 기초생활수급자는 정말 소득 ‘0원’이어야 받을 수 있는 줄 알았어요.
그런데 막상 자세히 알아보니까
기준 중위소득만 맞추면 의외로 많은 분들이 대상이 되더라고요.
특히 2025년부터는 소득기준이 상향되고,
재산 기준도 도시·농촌 구분돼서
자세히 보면 한부모, 고령자, 1인 가구도 충분히 해당되는 경우가 많아요.
오늘은 여러분이 헷갈리기 쉬운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조건과 2025년 기준표를
가구원 수, 재산 지역별로 전부 정리해드릴게요.
👉 생계급여 대상인지 바로 체크할 수 있도록요!
✅ 가장 궁금한 5가지 Q&A
-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조건이 어떻게 되나요?
- 기준 중위소득은 무슨 뜻이에요?
- 도시랑 농촌 재산 기준이 다른가요?
- 소득만 아니라 재산도 기준에 포함되나요?
- 내가 대상자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1. 기초생활수급자란?
기초생활수급자는
정부가 생계·주거·의료·교육 등 기본 생활을 보장해주는 복지 대상자예요.
✔️ 생계급여(현금 지원)
✔️ 의료급여(병원비 지원)
✔️ 주거급여(월세 또는 수선비 지원)
✔️ 교육급여(학용품, 교복비 등) 등으로 구성돼 있어요.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 30%]
1인 | 약 624,368원 |
2인 | 약 1,035,968원 |
3인 | 약 1,333,100원 |
4인 | 약 1,624,202원 |
5인 | 약 1,901,237원 |
6인 | 약 2,174,620원 |
📌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일 경우 생계급여,
40% 이하 주거급여,
50~60% 이하 교육급여 대상이 됩니다.
3. 재산 기준 – 도시·농촌 지역별로 다릅니다
단순 소득만으로는 부족하고,
재산도 ‘소득환산’해서 포함되기 때문에 꼭 체크해야 해요.
📍 2025년 재산 기준표
대도시(서울, 광역시 일부) | 약 1억 1,800만 원 이하 |
중소도시 | 약 8,500만 원 이하 |
농어촌 | 약 7,200만 원 이하 |
※ 재산에는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보증금 등 포함됨
※ 자동차는 1,600cc 이하 또는 10년 이상 노후차량일 경우 일부 제외됨
4. 소득인정액 = 실제 소득 + 재산의 소득환산액
예를 들어,
📌 월 소득 50만 원 + 예금 500만 원 보유 중이라면
예금 500만 원 x 소득환산율 4.17% ÷ 12개월 = 약 17,000원
→ 총 소득인정액: 50만 원 + 1.7만 원 = 약 51.7만 원
이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0%보다 낮으면
생계급여 수급 가능!
5. 한눈에 보는 자격 요약표
나이 | 연령 무관 (1인가구, 청년, 노인 모두 가능) |
소득 |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 |
재산 | 지역별 기준 이하 |
가구원 | 동거인 포함, 세대 단위로 심사 |
자동차 | 조건부 인정 (노후차량, 장애용 차량 등 예외 있음) |
✅ 지자체장이 '위기가구'로 판단 시 일부 기준 예외 인정 가능
💡 신청 방법 & 필요한 서류
✅ 신청 방법
- 온라인: 복지로(www.bokjiro.go.kr)
- 방문: 거주지 주민센터(읍·면·동사무소)
✅ 필요서류
-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 소득증빙서류 (급여명세, 통장 내역 등)
- 재산 확인 서류 (임대차계약서, 자동차등록증 등)
🔍 실제 시나리오 예시
1인가구 자취 청년 (월소득 55만 원 / 전세 보증금 2,000만 원)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재산 약 2,000만 원 → 대도시 기준 이하
👉 생계급여 대상 가능성 있음
고령 70대 부부 (월소득 90만 원 / 시골 단독주택 소유, 7천만 원 가치)
2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3만 원 이하농촌 재산 기준 7,200만 원 이내
👉 수급 대상 해당 가능
✅ 마무리 요약 – 2025년, 기준만 알면 ‘나도 수급자’일 수 있어요
✔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
✔ 재산 기준 지역별로 다름 (서울은 높고, 농촌은 낮음)
✔ 1인가구, 청년, 고령층, 한부모가정 모두 신청 가능성 높음
✔ 자동차·예금 등도 소득환산되어 포함되니 꼭 계산해보기!
📌 헷갈린다면 복지로 https://www.bokjiro.go.kr에서
‘모의 계산’ 기능 먼저 사용해보세요!
단 한 번의 신청으로
👉 생계급여 + 의료급여 + 주거급여 + 교육급여까지 연결될 수 있습니다.
[생활 꿀팁 모음]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2025년 왕초보 가이드]
"갑작스런 실직, 수입 중단… 그런데 당장 먹고살 돈도 없을 때?"정말 누구나 한 번쯤은 그런 순간이 있죠.열심히 일하다가 갑자기 회사가 폐업하거나,가족이 아파서 일을 그만둬야 하거나,심지
88.loveandwar.kr
한부모가정 지원혜택 및 신청 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 가이드]
“혼자 아이 키우는 것도 벅찬데, 뭘 신청할 수 있는지도 모르겠어요…”혹시 이런 고민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한부모가정이면 정부에서 지원해준다던데…""도대체 어디서, 뭘, 어떻게 받아야
88.loveandwar.kr
“25만원이라도 있으면 살겠다” 💸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나도 받을 수 있을까?
😓 요즘 물가 때문에 버티기 너무 힘드시죠? ✔ 식용유 하나에 6천 원✔ 마트 장 보면 5만 원은 기본✔ 전기세·가스비도 훅훅 올라가고✔ 월급 빼고 다 오르는 요즘… 우리 국민 대부분이 ‘체
88.loveandwar.kr
'따뜻한 지원금 보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부모가정 고등학생 장학금 – 소득별 금액과 신청 절차 (2) | 2025.07.11 |
---|---|
긴급복지 의료비 지원제도 – 수술비·치료비가 부담될 때? (1) | 2025.07.11 |
저소득층 에너지요금 할인제도 총정리 – 전기·가스·지역난방 (1) | 2025.07.10 |
노인 기초연금 2025년 금액표 및 신청조건 – 부모님 챙기기 (0) | 2025.07.10 |
장애인 복지카드 혜택 총정리 – 교통비부터 통신요금까지! (1)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