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등록은 했는데… 생활비 지원은 따로 없나요?”
저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복지카드는 받았지만 병원 할인, 대중교통 할인만 쓰고 있었고,
매달 생활은 빠듯한데 정기적인 현금 지원이 있다는 건 몰랐어요.
그러다 주민센터에서 들은 말 한마디.
“장애인연금이랑 수당 따로 챙기면 월 40만원 이상도 가능해요.”
네? 연금이요? 수당이요?
그래서 파고들어 알아봤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장애인 등록자 중 소득·재산 기준을 충족하면
👉 월 최대 40만원 넘게 생활지원금을 받을 수 있더라고요!
오늘 이 글에서는
✅ 장애인연금
✅ 장애수당
✅ 추가생활지원금
세 가지를 합쳐서 어떻게 월 40만원까지 나오는지
조건·신청방법까지 완전정리 해드릴게요!
✅ 이렇게 합치면 ‘월 40만원’도 가능해요!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 40만 3,260원 |
장애수당 | 4만원 |
특별장려금(지자체별) | 2~10만 원 (지역별 차이) |
▶ 합계 | 월 최대 약 50만원까지 가능! |
💡 단, 모두 자동 지급은 아님!
👉 조건 충족 + 개별 신청 필요
✅ ① 장애인연금 – 생활지원금의 핵심
만 18세 이상 중증장애인에게
매달 현금으로 지급되는 생활지원금 제도예요.
✔ 공식 명칭: 장애인연금
✔ 지급 대상: 1~2급 중증장애인 중 소득·재산 기준 충족자
💰 2025년 금액
기초급여 | 월 403,260원 (단독가구 기준) |
부가급여 | 3만 원~5만 원 (수급자 여부 따라 다름) |
📌 기초생활수급자는 부가급여까지 최대 지급
✅ 신청 조건
✔ 만 18세 이상 + 중증 장애인 (종전 기준 1~2급)
✔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 이하
- 2025년 기준: 단독가구 약 122만 원 이내
- 배우자 소득·재산 포함해서 심사
💡 즉, 고정소득 없고 재산이 적다면 가능성 높음
✅ ② 장애수당 – 경증 장애인도 받을 수 있어요
중증이 아니어도 가능한 수당이에요.
✔ 대상: 등록장애인 중 3~6급, 저소득층
💰 금액:
- 월 4만원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 월 2만원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차상위계층)
📌 장애인연금과 중복 불가! (즉, 둘 중 하나만 지급)
✅ ③ 지자체별 추가 지원금도 있습니다
서울, 부산, 광주 등 일부 지자체는
✔ 장애인 대상 월 2~10만원 추가 생활비 지원하고 있어요.
예시:
- 서울특별시: 중증장애인 활동보조비 월 5만원
- 경기도: 저소득 장애인 생활안정지원금
- 부산: 추가장려금 월 3만원
👉 주소지 주민센터에 문의하면 나오는 정보입니다!
✅ 신청 방법 – 어렵지 않아요!
📍 1. 주민센터 방문 접수
→ 장애인연금 or 수당 신청서 작성
→ 신분증 + 소득재산 확인서류 제출
→ 대상 심사 후 1~2달 내 첫 지급
📍 2. 온라인 신청 (복지로 www.bokjiro.go.kr)
→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 “장애인 서비스 신청” 메뉴
📞 문의 전화: 129 보건복지상담센터
✅ 꿀팁 – 몰라서 못 받는 경우 이렇게 하세요!
✔ 장애등급 통합 이후 ‘경증’으로 재분류된 경우
→ 기초생활수급자라면 장애수당은 여전히 가능!
✔ 가족 재산 포함돼 탈락했을 경우
→ 가족 분리 세대 기준 재심사 요청 가능
✔ 지자체 추가지원은 별도 신청 필요
→ 복지담당 공무원에게 “지역 생활지원금도 있나요?” 문의
✅ 결론 – 등록만 해놓고 지원은 안 받고 있다면, 지금이 신청 타이밍
장애인복지제도는 등록만 해놓고
생활비 지원까지 연결 안 하는 분들이 정말 많아요.
✔ 매달 40만원 이상
✔ 생활비 + 교통비 + 통신비까지 연계 가능
✔ 신청만 하면 자동 입금
👉 지금 이 글을 보셨다면,
👉 주민센터 방문 or 복지로 접속 한 번 해보세요.
'나도 될까?' 하는 순간이, 월 40만원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도움되는 생활꿀팁]
생활비 100만원 받는 법 –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2025년 꿀팁 정리!
“진짜 너무 급한데, 당장 쓸 생활비가 없어요…”이 말, 제가 몇 달 전 실제로 읍소하듯 한 말이에요.프리랜서로 일하다가 갑자기 일이 끊기고,카드값은 계속 나가고, 월세도 밀려가는 상황에
88.loveandwar.kr
이 돈 놓치면 바보됩니다 – 민생복지지원금 25만원 신청방법 총정리 [2025년]
여러분, 저처럼 요즘 물가에 한숨 쉬며 장바구니 열었다가 덮은 적 있으신가요?예전엔 10만원이면 장도 보고, 외식도 한번 했는데…요즘은 그냥 마트 다녀오면 카드값에 눈이 휘둥그레져요. 그
88.loveandwar.kr
한부모가정 자격조건 + 양육비 지원 정리 [2025년 업데이트]
갑작스런 이혼, 배우자의 사망, 또는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아이를 혼자 키우게 되었을 때, 경제적인 부담이 가장 크게 다가오죠.저도 지인의 사례를 가까이서 지켜보며 느꼈는데요, 아이 교육
88.loveandwar.kr
'머니 플레이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부터 바뀐 기초연금 신청 조건 – 나도 받을 수 있을까? (1) | 2025.07.19 |
---|---|
지하철·버스 무제한 무료 – 노인 무임교통카드 신청 방법 안내 (0) | 2025.07.19 |
장애인 복지 혜택 [병원, 대중교통, 문화생활, 통신비 할인 포함] (2) | 2025.07.17 |
주거급여 임차급여 임대료 지원 바우처 제도 [최신 정보] (2) | 2025.07.17 |
핸드폰 요금 할인 25% 및 절반으로 줄이기 – 저소득층 통신비 바우처 신청법 (2) | 2025.07.17 |